많은 사람들이 함께 사는 이 사회에서 문명인으로 살아가기 위해 우리는 어느 정도의 불안을 감수해야 합니다. 우리의 마음속에 숨어있는 충동이나 공격성을 최대한 억제하고 행동으로 표출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종종 우리 마음속에서는 원초아와 초자아가 서로 갈등하게 되고, 그 사이에서 균형을 잃을까 봐 두려워하는 자아가 불안한 마음을 가지게 합니다. 프로이트는 자아가 이러한 불안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여러 가지 전략을 사용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러한 마음의 전략들을 통틀어 방어기제(defense mechanism)라고 부릅니다. 방어기제는 현실을 살짝 왜곡하여 불안을 감소시키거나 불안의 방향을 다른 곳으로 돌리게 만들어 자신을 보호합니다. 방어기제는 그 특성에 따라 원시적인 것부터 성숙한 것까지 다양하게 존재합니다.
1. 원시적 방어기제
1) 투사(Projection)
투사는 자신의 충동이나 감정을 자신의 것이 아닌 다른 곳으로부터 오는 것으로 생각하며 외부의 탓을 하는 방어기제입니다. 실제로는 내가 상대방을 싫어하여 피하고 싶은 마음이 있음에도 오히려 그 사람이 나를 피하고 있다고 믿는 것이 투사입니다. 부모가 자녀에게 속상한 마음이 있지만 그것을 드러낼 수 없을 때, 부모는 오히려 자녀가 자신에게 뭔가 화가 난 것 같다고 서운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실제로 자녀는 평소와 다르게 행동하지 않거나, 조금 피곤할 뿐인데도 부모는 자신에게 아이가 뭔가 감정이 있는 것처럼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것도 일종의 투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부인(Denial)
부인은 자신에게 발생한 고통들을 아예 없는 것으로 부정하고 받아들이지 않는 전략입니다. 자신이 건강에 문제가 생겼을 때 그것이 받아들이기 너무나 걱정되고 불안하면, 오히려 병원에 가지 않고 건강하다고 믿어버리며 일상생활만을 지속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합니다. 또한 자녀가 학교에서 문제를 일으키는데도, 그럴 리가 없다고 생각하며 아예 관심을 가지지 않고 선생님과 면담 요청도 거절하는 것이 한 예가 될 수 있습니다.
3) 함입 (introjection)
함입은 다른 사람들이 나를 향한 부정적인 감정들을 자신의 내면의 것으로 생각하는 방식입니다. 부모가 어린 시절부터 자녀에게 심한 비난을 반복하게 되면, 나중에 부모를 벗어나서도 그 자녀는 스스로를 과도하게 비난하게 됩니다. 그리고 스스로를 칭찬받을 수 없는 존재로 깎아내리는 행동들을 하게 됩니다. 다른 예로 세상은 위험한 곳이라고 지속적으로 강조하는 부모의 자녀는 성인이 되어서도 다른 사람을 믿지 않고 세상의 위협을 지나치게 경계하는 태도를 가질 수 있습니다. 부모 잘못된 생각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 버린 것입니다.
4) 분리(Splitting)
분리는 극단적인 이분법적 사고를 가지는 방어기제입니다. 즉, 어떤 상황이나 사람에 대해 절대적으로 좋다고 생각하거나 나쁘다고 생각하는 태도입니다. 부모가 스스로를 완벽한 부모나 실패한 부모로 생각하는 경우가 이런 극단적 사고에 속합니다. 또한 자녀의 상태에 대해서 완벽한 성공이라고 언급하거나 실패한 인생이라고 낙인찍는 것도 극단적인 이분법에 해당합니다.
2. 중간 수준 방어기제
1) 억압(Repression)
억압은 불안을 만들어내는 생각이나 감정을 의식에서 무의식으로 몰아해는 방어기제입니다. 억압은 다른 모든 방어기제의 기저에 있어서, 위협적인 충동들이 의식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합니다. 프로이트는 아동기에 이성 부모에 대한 욕망을 무의식 속에 억압해 놓았기 때문에, 그 사실을 기억하지 못하는 것이라고 믿었습니다. 하지만 억압은 완벽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서 억압된 기억들이 꿈이나 말실수를 통해서 튀어나온다고 주장했습니다. 또한 어린 시절에 부모의 이혼으로 큰 충격을 겪은 아이들은 시간이 지나면 그 기억을 떠올리지는 못하지만,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겪거나 감정적인 거리를 둘 수 있습니다. 그 충격을 계속 기억하면서 일상생활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무의식으로 기억을 억압했지만, 그것이 무의식에서 나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입니다.
2) 전위(displacement)
전위는 치환이라고 번역하기도 하는 방어기제입니다. 이는 어떤 대상을 향한 충동이 위험하다고 판단될 경우 그 충동을 덜 위험한 대상을 향하도록 바꾸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부모에게 분노가 쌓인 자녀가 차마 부모에게 그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 스스로 용납되지 않을 때, 그 대상을 인형으로 바꾸어 화풀이를 하거나 걷어찰 수 있습니다. 또한 직장에서 상사에게 스트레스를 받은 아버지가 집에 와서 괜히 자녀에게 버럭 화를 내는 것도 전위의 일종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3) 퇴행(Regression)
퇴행은 이전 발달 단계로 후퇴하는 방어기제입니다. 스트레스를 방어하기 위해서 어릴 때 했던 행동을 하기 시작합니다. 불안한 상황에서 손가락을 빠는 행동은 구강기로 퇴행한 것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사회생활 중에 스트레스를 받은 자녀가 부모에게 어린아이처럼 짜증을 내거나 철없이 행동하는 것이 퇴행의 일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4) 반동형성(Reaction formation)
반동형성은 자신이 용납할 수 없는 충동을 억누르기 위해 그 반대의 행동이나 태도를 취하는 방식입니다. 상대방을 정말 싫어하지만 그것이 절대 용납될 수 없을 때 오히려 그를 사랑하는 것처럼 믿게 됩니다. 사람들을 피하고 싶은 생각이 많지만 그것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때 오히려 약속을 많이 잡고, 모임에 적극적으로 나가며 무리하게 일정을 소화하는 것도 하나의 예가 될 수 있습니다. 소심한 사람이 오히려 무모하게 과감한 행동을 하는 것도 일종의 반동형성입니다.
5) 합리화(Rationalization)
합리화는 자신의 행동에 대한 진짜 이유를 감추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자신을 정당화시키는 설명을 만들어내는 전략입니다. 부모가 자녀에게 지나치게 무리하게 공부를 강조하면서, 이 모든 것이 자녀의 미래를 위해서라고 말하는 것도 일종의 합리화입니다. 습관적으로 술자리를 가는 사람이 사회생활을 위해서 할 수 없이 가는 것이라고 말하는 것도 한 예가 될 수 있습니다.
3. 성숙한 방어기제
1) 승화(sublimation)
승화는 부정적인 생각이나 충동을 사회에서 용납되는 안전한 방식으로 바꾸어서 표출하는 방어기제입니다. 부모와 자녀가 갈등으로 스트레스를 많이 겪은 후 함께 격렬한 운동을 하면서 그것을 해소하는 것이 좋은 예가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슬픔을 예술 작품을 완성하는데 열중하며 해소하는 것도 승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유머 (Humor)
유머는 어려운 상황이나 부정적인 감정에 직면했을 때 가볍게 웃음으로 넘길 수 있는 방어기제입니다. 가족 여행 중 길을 잘못 들어 긴장되어 있는 상황에서 누군가가 "신나는 모험을 떠나자!"라고 말하며 가볍게 웃을 수 있는 상황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러면 긴장이 완화되고, 긍정적인 분위기가 만들어지게 됩니다.
3) 이타주의(Altruism)
이타주의는 타인을 위하는 행동이나 태도를 취함으로써 자신의 부정적인 감정을 해소하는 방어기제입니다. 자신이 어려운 상황이지만, 그것을 다른 사람을 돕는 방식으로 해소하면서 큰 심리적 만족을 얻게 됩니다. 예를 들어, 부모는 자신의 시간과 노력을 들여 자녀가 잘 성장하도록 희생합니다. 또한 어떤 가족은 경제적으로 여유가 없지만 다른 어려운 이웃에게 조금씩 기부하고 봉사합니다. 그 과정에서 자신의 어려운 상황을 잠시 잊고 큰 만족감과 보람을 느낍니다.
이처럼 방어기제들은 성숙한 정도에 따라 다양한 특징을 나타냅니다. 원시적 방어기제가 미숙한 방식으로 현실을 왜곡하는 반면, 성숙한 방어기제로 갈수록 더 건설적이고 건강한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도록 도와줍니다. 다양한 방어기제에 대해 잘 이해한다면, 가정 안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상황 속에서 더 건강한 방식으로 갈등을 해결할 수 있을 것입니다.